14

단명 자료 연작은 넓게 보아 우리의 ‘인프라 플랫’ (infra-flat) 계열에 속하는 작업이다. 우리가—마르셀 뒤샹의 ‘인프라 신’(infra-thin)을 응용해—제안한 인프라 플랫 개념은 세계를 평평하게 압축하는 힘, 즉 항시 연결과 즉시 접근을 추구하는 기술이 창출하는 깊이감을 가리킨다. 이는 그 힘이 완전한 평면성의 경계를 넘어 창출하는 역전된 깊이감이다. 현실 세계를 ‘2D의 3D 버전’으로 파악하는 시각이 극화한 가짜 깊이이기도 하다. 오늘날 세계는 딱 셀카봉과 그 주인공 사이 정도로 납작해졌다. 인프라 플랫은 그 거리가 좁혀지다 못해 대상을 투과하며 마이너스 깊이를 창출하는 셀카봉의 시각과 관계있다.

“마치 어떤 대상을 지나치게 가까운 거리에서 본 것처럼” 흐릿하게 처리된 이미지는 지지 구조(종이, 액자, 탁자 등 이미지를 지탱하거나 구현해 주는 물리적 장치)의 명료한 물질성과 대비된다. 포스터, 서울, 2007이나 엽서, 베를린, 2010 같은 부제는 사실을 꾸밈없이 전하면서도 딱히 유용한 정보는 드러내지 않는다.

그레이스케일 그레이스케일

19-s

18-A-s 18-B-s 18-C-s 18-D-s 18-E-s

17-s

16-s

15-s

13A-s 13B-s 13C-s

12-s

11-s

10A-s10B-s

9-s

8A-s 8B-s 8C-s

7-s

6-s

5-s

4A-s 4B-s

3-s

2-s

1A-s 1B-s

concept-drawing-1-web

materials_1b

Untitled-1-5 (Technical Drawing)